우산판촉물 다양한 상품으로 준비하자!

우산판촉물 다양한 상품으로 준비하자!

우산판촉물 다양한 상품으로 준비하자!

Blog Article

“일본이 우리처럼 부처님을 진심으로 아끼며 관리할지 걱정이에요. 또 전처럼 무슨 일이라도 생기지는 않을지….”

지난달 31일 충남 서산 부석사(浮石寺). 이날 사찰은 ‘금동관세음보살좌상 100일 친견 법회’가 열리고 있어 647년 만에 귀향한 부처님을 보려는 사람들이 줄을 이었다.

고려 시대(14세기) 제작된 높이 50.5cm, 무게 38.6kg의 이 불상은 2012년 한국인 절도범들이 일본 쓰시마섬 간논지(觀音寺)에서 훔쳐 와 팔려다 적발됐다. 이후 일본 측과 소유권 다툼 끝에 2023년 10월 대법원 판결로 돌려주기로 결정됐으나, 반환 전 불상을 모시고 법회를 열고 싶다는 부석사 측 요청으로 1월 25일부터 5월 5일까지 100일 친견 법회가 열리고 있다. 부석사 주지인 원우 스님은 “이제 한 달 정도밖에 안 남았는데 일본 측은 어디에 부처님을 모실지 결정도 못 한 상태”라고 답답해 했다.

―애초 쓰시마섬 시립 박물관에 보관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만.

“지난달 25, 26일 친견 법회 상황을 알리고 향후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일본에 가 쓰시마시와 박물관 관계자들을 만났어요. 저도 시립 박물관에 모시는 걸로 알고 있었는데, 간논지 주지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라고 하더군요. 정부나 지방자치단체는 박물관을 원하는데, 지역 주민들은 간논지에 모시길 바란다는 거예요.”

―간논지는 무인 사찰 아닙니까.

“상주하는 스님이 없는 사찰이지요. 주지도 다른 절 주지가 간논지 주지를 겸하고 있을 뿐이에요. 그런 곳에 부처님을 모시면 어떻게 되겠습니까. 2012년 도난도 그렇게 허술하게 방치했다가 벌어졌는데…. 그런데 관리·보관 면에서는 박물관이 낫겠지만 일본 입장에서는 그것도 흔쾌히 선택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닌 것 같았습니다.”

―어떤 어려움이 있는지요.

“세계적으로 약탈 문화재는 취득 입증책임이 소장자에게 있어요. 정당하게 취득했다는 걸 입증하지 못하면 돌려줘야 하거든요. 일제강점기 때 유출돼 미국 보스턴 미술관에 있다가 80여 년 만인 지난해 4월 돌아온 석가불 진신사리(眞身舍利·석가모니 몸에서 나온 사리)와 나옹·지공 선사 사리가 같은 경우죠. 박물관에 보관하면 오히려 한국에 돌려줄 가능성이 생기는 셈이니까요.”

지난 5일 경북 구미시 선산읍의 옛 절터에 한 줄기 법등이 다시 밝혀졌다. '선산 죽림사 개산식 및 석조약사여래 봉불식' 봉행을 통해서다.

이날 법회에서는 대한불교조계종 원로 스님들을 비롯해 대구 무광산사 신도, 선산 지역 신도, 시민 등 300여 명이 모여 약사여래불 봉안과 죽림사의 새로운 출발을 축하했다.

죽림사는 과거 사찰로서의 기능을 잃은 뒤 힐링캠핑장으로 활용되던 공간이다. 이 자리에 다시 부처님의 법등이 켜진 건 무광산사의 회주, 원구 스님의 원력과 복원 의지 덕분이다.

2022년 원구 스님은 선산읍 교리2길 일대 6천여 평의 부지를 인수하며 죽림사 재건을 위한 첫 삽을 떴고, 3년에 걸친 사방사업과 리모델링 끝에 이날 개산식이라는 결실을 맺게 됐다.

1980년대 후반 해인사 백련암에서 성철 스님을 은사로 출가한 그는 1993년 성철 스님 열반까지 5년간 직접 시봉하며 근본 가르침을 온몸으로 받아들였다.

그 후 전국 제방 선원에서 34안거 성만, 한결같은 참선과 수행을 이어온 그는 2009년 대한불교조계종에서 '종사' 법계를 website 품수받았고, 2025년에는 지리산 상무주암의 현기대 선사로부터 법상좌 인가를 받았다.

원구 스님은 수행뿐 아니라 실천과 자비의 길을 걸어왔다. 청소년 인성교육과 실버복지에 이르기까지 '삶 속에서 살아 있는 불교'를 일관되게 실천해 왔다.


―우리 대법원이 일본의 소유권을 인정하지 않았습니까?

“타인의 물건이라도 일정 기간 점유했다면 소유권이 넘어간 것으로 보는 ‘취득시효’ 법리에 따라 인정했는데, 그것과 약탈 문화재 반환은 별개니까요. 앞서 말한 석가불 진신사리도 취득시효만 따지면 돌려받을 수 없었을 겁니다. 간논지가 사적으로 소유하면 그런 문제는 없지만 보관 문제가 있으니…. 그래서 일본 측이 결정을 못 하는 것 같아요.”

―요즘 산불이 심각한데, 대비는 어떻게 하고 있는지요.

“이 지역은 아직 산불 피해는 없는데, 금동관세음보살좌상이 국보급 문화재로 평가받다 보니 소방서와 함께 대피 훈련도 하고 만약의 사태를 대비하고 있어요. 밤에는 외부인 출입을 금지하고, 부처님을 모신 대웅전 문도 잠가 놓고요. 그런데, 한밤중에 몰래 절에 와 자물쇠를 열어보려고 하는 사람들이 종종 있어요. 그래서 방화도 대비할 겸 폐쇄회로(CC)TV를 20개 넘게 설치하고 경보 시스템도 설치했지요.”

―대법원 판결이 난지 꽤 됐는데, 정부 차원의 환수 노력은 있었습니까.

“아무것도 들은 게 없어요. 대법원 판결과 약탈 문화재 환수 노력은 별개인데…. 반환 절차도 원래 대전 국립문화유산연구원으로 갔다가 거기서 일본으로 갈 예정이었는데, 연구원은 빠지는 것으로 변경됐어요. 어차피 갈 것인데 괜히 책임질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 게 아닌지…. 그래도 우리 문화재인데 좀 더 소중하게 여겨줬으면 하지요.”

Report this page